2022년부터 도입된 제도다. 아기 태어나면 바로 200만원 바우처가 지급된다. 병원비, 약값, 기저귀, 분유 같은 데 자유롭게 쓸 수 있고, 카드로 결제하면 자동 차감된다. 단, 술·담배·유흥 같은 곳에는 사용 불가. 출생신고 후 주민센터에서 신청하거나 정부24 사이트에서 온라인 신청 가능하다. 이건 무조건 챙겨야 하는 기본 지원금이다.
만 0세부터 만 7세까지 매달 10만원씩 지급된다. 부모 소득 상관없이 아기만 있으면 다 받을 수 있다. 육아하면서 매달 고정으로 들어오는 돈이 있다는 게 은근 든든하다. 기저귀 한 팩, 분유 한 통 값은 해결되는 셈. 아동수당은 주민센터나 복지로 사이트에서 신청 가능하다.
2022년부터 시행된 제도. 만 0세 아기에게 월 30만원씩 지급한다. 2025년 이후 단계적으로 인상돼서 최대 월 50만원까지 확대될 예정이다. 이건 현금처럼 계좌로 들어오니까 바로 생활비에 보탤 수 있다. 특히 전업맘·전업대디 가정에서는 체감 효과가 크다.
아기를 어린이집이나 아이돌봄 서비스에 맡기지 않고 집에서 직접 키우면 받을 수 있는 수당이다. 나이별로 금액이 조금 다르지만 보통 월 10~20만원 수준. 보육료 대신 현금으로 받는 개념이라, 집에서 양육하는 가정이라면 꼭 신청해야 한다.
둘째부터는 지자체마다 추가로 주는 지원금이 있다. 어떤 지역은 둘째 출산 시 50만원, 셋째는 100만원, 넷째 이상은 500만원 이상 주는 곳도 있다. 심지어 출산장려금 명목으로 아파트 분양 우선권이나 대출 이자 지원을 해주는 지역도 있음. 살고 있는 지자체 홈페이지 들어가서 꼭 확인해야 한다.
신생아는 병원 자주 간다. 이때 받을 수 있는 게 의료비 본인부담 경감제도. 특히 미숙아나 선천성 질환 아기는 진료비가 수백만 원 나오는데, 국가 지원으로 최대 수천만 원까지 보전받을 수 있다. 또 모든 아기는 1년간 건강검진도 무료다.
엄마·아빠 모두 챙길 수 있는 제도다.
출산가정 지원금은 그냥 주는 돈이 아니라, 애 키우는 데 꼭 필요한 안전망이다. 출산 직후부터 아동수당, 영아수당, 양육수당, 다자녀 혜택, 육아휴직까지 꼼꼼하게 챙기면 연간 수백만 원 혜택을 누릴 수 있다. 정부에서 주는 돈은 못 받아도 억울하지 않나? 부모라면 반드시 체크하고, 필요한 건 당일에 다 신청해서 놓치지 말자.
월령별 장난감 추천 0~3개월: 흑백 모빌, 딸랑이 → 시각·청각 발달 자극 4~6개월: 치발기, 손으로 잡을…
무료 vs 유료 예방접종 무료로 제공되는 건 국가필수예방접종(NIP) 이라고 부른다. B형간염, 결핵(BCG), DTaP, 소아마비(IPV), MMR,…
아동수당이 뭔데? 아동수당은 만 7세 미만(0~95개월) 아동에게 매달 10만 원씩 주는 제도야. 부모의 소득 수준이랑…
부모급여란? 2023년부터 도입된 부모급여는 만 0~1세 아동을 키우는 가정에 현금으로 지급된다. 2025년 기준으로는 이렇게 바뀌었다.…